본문 바로가기

상담사 on+57

[tip/윤리] 상담윤리_(1)윤리강령의 이해(청소년상담사/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붙임) 들어가기 전에 ○ 윤리강령의 정의 - 전문직의 의무와 책임을 정리한 일련의 행동규칙(지침) ○ 필요성 - 윤리강령은 내담자와 상담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상담직무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기준을 제공해준다. ✔ 실제로 상담을 하다보면 상담자가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기 곤란한 문제 상황들이 다수 발생한다. ○ 핵심 - 상담자 전문적 가치에 의해 내가 가치중립적이었나를 항상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 윤리적 시각의 필요성 상담을 제공함에 있어 상담자가 독자적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법이나 윤리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함. 윤리적 쟁점을 고려하는 훈련 통해 여러 상황들에 대해 고려할 수 있게 되고 순발력이 증가함 ​ ​ ■ 윤리적 쟁점들 1) 미국 부부 및 가족치료협회.. 2020. 12. 18.
[tip/운영] 상담기록물 관리, 상담일지 작성법: 상담기록물 어떻게 쓰고 관리할까? 필요/중요한 것으로 합의된 상담기록물 유형 - 필요/중요한 것으로 합의된 기록물들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상담관리 및 접수관련 기록물’에 속한 것이 많은 반면, ‘상담 계획 및 과정 검토 기록물’에 속한 것은 거의 없었음. ‘내담자 접수대장’ ‘상담 동의서 및 내담자의 권리 알림’ ‘접수 면접 기록지’ ‘자살방지 서약서’ ‘정신건강 스크리닝 양식’ ** ‘위기정도 체크리스트’** ‘상담종료요약 기록지’ ‘비밀 보장에 대한 상담자 서약서’ ‘개인사 양식’ 등 ※ 정신건강 스크리닝 양식, 위기정도 체크리스트 양식을 일일이 운영하기 힘들다면 문항을 기억해서 선별할 것을 권유 ○ 상담기록물 생성 방법 1) 기록의 내용과 수준은 상담자의 판단과 상황에 따라 달라짐 2) 접수면접부터 종결까지 기관에서 요구되는 양식을.. 2020. 12. 17.
[tip/사례개념화] 첫인상 관찰 및 행동관찰 ● 사례개념화 요소 목록 Kendjelid(1998) 유목명 사례개념화 항목 Ⅰ. 기술적 정보 1. 내담자 인적사항 2. 내방경위 3. 지금 상담 온 계기 4. 내담자 호소문제 / 증상 / 원함 5. 현재 문제상태 / 증상의 내력 6. 과거병력(정신과적 진단, 의학적 병력) 및 이전상담/치료경험 7. 내담자의 발달적 역사(가족관계 포함) 8. 첫인상 및 행동관찰 9. 객관적 정보(심리검사결과/현재 정신과 진단) Ⅱ. 추 론 된 정 보 A. 문제관련 상황적요인 10. 문제의 기원 11. 현재 스트레스원이나 문제 촉발요인 B. 문제관련 개인적요인 12. 자기에 대한 개념 13. 타인에 대한 개념 및 대인관계 패턴 14. 인지적 패턴 및 인지내용 자기와 타인에 대한 개념 제외 15. 정서적 패턴 및 주요정서 .. 2020. 12. 17.
[상담톡/이론] 해결중심상담_ 해결중심의 역사/발달배경 [요약] * 드세이저와 버그: 해결중심상담, 밀워키 단기가족치료센터(BFTC : Brief Family Theraphy Center)                                                                          ↑ · 베이트슨 중심의 팰로앨로팀 : 가족체계론적 관점. MRI(정신건강연구소) · 에릭슨(Milton Erickson)의 치료적 접근 · 사회구성주의 드세이저와 버그 - 단기가족치료센터(BFTC : Brief Family Theraphy Center)드세이저와 그의 동료 덜크스카 밀워크 가족서비스를 사직하고 저녁모임 회원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치료 면허 받은 진료기관  1) 드세이저(1940-2005)미국 위스콘신 주의 밀워키에서 출생. 위스콘.. 2020. 12. 17.
[상담톡/이론] 실존주의상담_이론과 실제 (요약정리) ◈ 핵심어: 존재, 자기자각능력, 자유와 책임, 선택, 불안, 삶과 죽음, 시간과 존재, 의미와 무의미, 고독과 사랑 자기초월, 진정성. [ 요 약 ] 실존주의상담은 구체적인 기법을 갖춘 하나의 이론적 상담모델이라기보다는 실존주의 철학을 상담에 적용한 것이다. 1940-50년대 유럽의 다양한 철학, 심리학, 정신의학에서 자생적으로 일어났으며, 키에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사르트르, 부버 등의 실존철학자들의 배경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실존적인 관점은 정신적 질병은 개인이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난다고 보고 내담자가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찾도록 돕는다. 동시에 개인이 자유가 존재적으로 무거운 것이며 행동에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을 수용하고 행동하도록 돕는다 ​ 치료자는 내담자가 새로운 .. 2020. 12. 17.
[상담톡/이론] 로고테라피_이론과 실제(요약정리) *보조자료 애정하는 책중 하나인 빅터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은 책이었지만 다 읽고 나서는 개념이 한번에 정리되지는 않았는데 이 영상을 보고 도움이 많이 얻었던 것 같다. ​ https://youtu.be/h6w1WH0X4CA 📚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 "아가페적 실존" ​ ​ 출처: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 "아가페적 실존“ - 혜윰책방 ​ 요약: 프랭클에 따르면 현대인들이 느끼는 수많은 무기력증과 우울감은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가 좌절되었을 때 발생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자기만이 생성할 수 있는 고유한 삶의 의미​를 창조, 체험, 태도라는 세 가지 가치를 실천함으로써 창조해나갈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 로고테라피, 실존치료 ○ 문제원인: 자기 존재.. 2020. 12. 17.
[상담톡/이론] 내면아이_이론과 실제(요약정리) *보조자료 https://youtu.be/K5SfGruxHNw ​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하기' 라는 책을 틈틈히 있고 있는데, 책읽는데 통 속도가 나지 않다가 이 영상을 보고 읽으니 훨씬 잘 읽힌다. 관련 개념을 공부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시간날때 편하게 보면 좋을 것 같다 ​ ✔ 내면아이란? 어린 시절 해결되지 않는 감정 (무의식에 억압) ○ 부모가 인정할 수 없어서 나도 인정할 수 없어서 내 무의식 안에 그림자로 남아있는 억압된 욕구와 감정. 1) 내 안의 아이, 성장이 멈춤 2) 지하실에 갇힌 으르렁 거리는 개로 비유 : 밖으로 나가고 싶은데 누르면 누를수록 폭발하는 힘이 강하다. ​ ✔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내면아이) '부모'로부터 시작됨. ○ 예시) >> 아이가 우는데 부모가.. 2020. 12. 17.
[상담톡/상담도구] 버츄카드 활용하기 >> 현재는 오프라윈프리쇼에 소개된후,  아이들의 인성이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자녀교육법으로 알려져있다버츄 프로젝트(Virtue Project)란? 1970년대 정신과 의사였던 린다 캐벌린 포포프(Linda Kavelin Popov)가 어린이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꾸준히 미덕을 연마해 나갈 수 있는 간단하고도 독특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네 자녀의 어머니기도 한 린다가 자신의 자녀가 다니던 학교의 행동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이 기적적인 효과를 보이면서 인근지역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학교에 이어 지역 사회가 호응하면서 그녀의 프로그램은 꾸준한 발전을 거듭했다.당시 그녀의 교육법은 ‘ABC’(Aiding Behavioral Change) 프로그램으로 알려졌다. 이것이 훗날 버츄.. 2020. 11. 22.
[상담톡/심리검사] 자아존중감 자가진단, Rosenberg Self-Esreem Scale, RSES (자아존중감척도) ● 목적:자기 보고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제작 [요약] 1965년에 만들어진 Rosenberg의 척도는 현존하는 자기존중감 척도((Husdon의 자아존중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index of Self-Esteem,ISE 등이 있음)) 중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척도이다. 이 척도는 이미 많은 언어로 번역이 되었다.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느낌과 평가의 정도 및 자기 수용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긍정적 문항과 부정적 문항을 각 5개,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총점 0-40을 보임 ​ ​ 측정대상: 아동, 청소년, 성인 등 다양하게 쓰임 ​ 채점방법: 역채점 문항(3, 5, 8, 9, 10번) 점수 + 나머지 문항의 점수의 총점 *역채점 방식: 1번 - 4점/ 2번 .. 2020.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