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외상을 입는 것과도 같아서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슬픔, 분노, 죄책감, 불안, 외로움, 피로감, 무력감, 분노, 안도감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 점차 상실을 받아들이면서, 고인과의 관계를 재정립해나가는 것이 애도과정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애도과정을 도울 수 있는 기관인 '중앙심리부검센터' 사업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014년 4월, 보건복지부의 자살자 사망원인분석 및 유족의 심리지원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자살예방 수립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1. 심리 부검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은 죽음의 진실을 마주하고자 하는 유족들을 대상으로 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사망에 영향을 끼쳤을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고인의 삶을 통합하는 과정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털어놓지 못했던 이야기를 함으로써 건강한 애도를 위한 첫 걸음이 될 수 있으며, 고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불 수 있게 됩니다.
* 면담절차는 아래와 같고, 세부내용은 중앙심리부검센터에서 제공하는 안내자료를 첨부해두었습니다
첨부파일
중앙심리부검센터_리플릿(유족을위한 심리부검면담 안내문).pdf
2. 애도 지원
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임상심리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사랑하는 가족을 잃어 고통 속에 있는 유족들에게 건강한 애도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정신건강의학화 치료비지원, 자조모임, 복지지원서비스 안내, 추모공간 등을 제공합니다.
따뜻한 작별
따뜻한 작별, 중앙심리부검센터
www.warmdays.co.kr
3. 유관기관 대상 활용저작물 제공
이외에도 중앙심리부검센터에서는 ①유족 대상의 심리지원을 목적으로 발행한 저작물, ②자살자에 대한 심리부검 및 경찰 수사기록을 통한 자살 사망 분석 결과보고서의 배포 및 확산을 위해 자살 유족, 정신건강전문요원, 정신건강전문가 및 종사자, 경찰, 기타 실무자 및 연구자에게 저작물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앙심리부검센터 저작물 활용 안내
저작물의 범위
중앙심리부검센터에서 중앙심리부검센터에서 유족 대상의 심리지원을 목적으로 발행한 홍보물, 간행물, 영상물, 데이터 그 밖의 모든 자료가 저작물에 해당하며, 활용될 수 있는 저작물의 범위는 다음과 같음.
1 홍보물 : 리플릿, 포스터 등 홍보를 위한 자료 2 간행물 : 책자, 소책자, 매뉴얼, 연구보고서, 결과보고서, 교육자료 등 3 영상물 : 영상, CD, DVD 등 4 콘텐츠 : 지역 자살유족 발굴을 위한 활용 콘텐츠, 홈페이지 내 자료 |
저작물 제공 대상
위와 같은 목적으로 활용을 원하는 개인 및 기관은 활용승인 신청 절차를 통해 저작물을 제공 받을 수 있음. 단, 저작물 활용을 신청한 개인 및 기관에 따라 저작물의 제공범위나 방식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저작물의 경우 제공이 불가할 수 있음.
제공대상 |
해당범위 |
|
개인 |
자살 유족, 자살 및 자살 예방 관련 학술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 |
|
기관 |
유관기관 |
공공서비스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
공공기관 |
경찰서, 소방서, 주민센터, 국립병원, 의료원, 학교 등 |
|
보건 및 의료기관 |
대학병원, 지역병원 등 |
|
기타 |
그 외 중앙심리부검센터장이 인정하는 개인 및 기관 |
상기 저작물은 위로패키지, 자살유족사후관리 프로토콜,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유족을 위한 도움서입니다.
'정보on+ > 복지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톡/한부모] 2020 한부모/조손가정 정부지원 복지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을까 (0) | 2020.12.18 |
---|---|
[복지톡/돌봄] 서울시, 돌봄부담을 제로! 긴급돌봄지원제도 돌봄 sos 센터 (0) | 2020.12.18 |
[상담톡/정보]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코로나 19 우울 진단 (0) | 2020.11.21 |
[상담톡/정보] 24시간 긴급위기 자살위기 전화상담 안내(무료) (0) | 2020.11.21 |
[상담톡/정보] 무료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 기관 (0) | 2020.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