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이론: 통합적 인격체 ,
타인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을 단순히 '좋은 사람' 또는 '나쁜 사람'으로 분류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흑백논리식의 이분법적인 사고는 타인의 긍정적인 면이나 부정적인 면을 제대로 인식할 기회를 놓칠 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감정을 단편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문제를 가진다.이러한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다양한 면모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상관계이론은 바로 이러한 접근을 제시한다.
대상관계이론에서 제시하는 중요한 개념은 타인을 독특하고 통합적인 존재로 바라보는 시각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단순히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없는 존재이며, 그 자체로 전체적인 존재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그들이 가진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특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 대상관계이론: 통합과 분화, 분열, 이상화, 평가절하
유아는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촉감, 냄새, 맛, 소리 등을 통해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때 유아는 어머니의 여러 가지 특징을 구별하고, 나중에 이를 하나로 통합하여 전체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간다. 그러나 유아는 자아 기능이 미성숙해서, 어머니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받아들이지 못하고 각기 따로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따뜻하게 보살펴 주면 어머니를 좋은 사람으로, 거부하면 나쁜 사람으로 생각하는 식이다
이렇게 분화된 경험은 유아가 자신의 자아를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유아는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동시에 받아들이지 못하고, 나쁜 면을 억압하거나 무시하려고 합니다. 만약 유아가 지나치게 좌절하거나 불안을 느끼면, 자아의 통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대상이나 자신의 특성이 분리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러한 분리된 인식을 '분열(splitting)'이라고 한다.
유아는 상충되는 감정이나 특성을 나누어 각각 따로따로 인식하게 되며,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극단적으로 구분하게 된다. 이때 '이상화(idealization)'와 '평가절하(devaluation)'라는 심리적 기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상화는 대상을 완벽하게 여기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어머니를 완벽한 존재로 생각하는 것이다. 반대로, 평가절하는 대상을 무가치하게 여기는 것으로, 어머니의 나쁜 면만 부각시키고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처럼 분열과 이상화, 평가절하의 극단적인 인식은 유아가 심리적으로 부적응하게 만들고,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유아가 좋은 면과 나쁜 면을 모두 통합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관점을 받아들일 때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큰 변화가 일어난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복잡한 특성을 받아들일 때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성숙한 반응과 성숙한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이 관점을 받아들일 때 우리는 타인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큰 변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동료가 나를 기분 나쁘게 했을 때 그 동료를 "나쁜 사람"이라고 바로 단정지었을 수 있다. 하지만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그 동료도 나처럼 여러 복잡한 감정과 상황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동료의 행동이 나를 화나게 했지만, 그 친구 역시 실수를 할 수 있고, 그도 그 나름의 이유가 있었겠지"
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내 감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나의 반응도 더 성숙해진다. 이는 자신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내가 충동적으로 화를 냈지만, 내 나름의 이유가 있었고 나 역시도 실수를 할 수 있는 존재이다. " 결국, 이렇게 타인의 복잡한 특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내 성격을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격의 통합이란, 자신과 타인의 다양한 면모를 인정하고 조화롭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는 과정이며, 이러한 통합은 더 성숙하고 개방적인 인간 관계를 만들어가게 한다.

인간은 그 자체로 다면적이고 복합한적인 존재로 모든 행동과 말 속에는 긍정적이고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은 대인관계에서 더 깊고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첫걸음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마음 on+ > 3) 대인관계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1. 우리는 왜 힘들어질까 - 내 방식대로 너를 사랑해 (0) | 2021.01.05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