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사 on+/○ 심리검사

[상담톡/심리검사] 보웬(Bowen) 이론의 개념인, 자아분화/자기분화척도의 이해와 활용

by 온택트상담소 2020. 12. 31.
728x90
반응형

분화는 보웬에게 치료의 목표인 동시에 성장의 목표이다

"아동이 어머니와의 결합에서 서서히 벗어나 자기 자신의 정서적 자주성을 향해 나아가는 장기적 과정이다"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임상현장에서 가족변인을 측정하는 주요도구로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 소개된 척도 외에도 개발된 자기분화척도들이 있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목적:자기 보고를 통해 자아분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제작

[요약]

 Bowen 이론의 개념 중, 인저기능 대 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의 다섯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자아분화척도. Bowen 이론 분석과 안창규(1989), Kear(1978), Garfinkel(1980), Titleman(1983)의 문항을 종합해 135문항을 제작한 후,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120개의 문항을 선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36문항이 최종적으로 확정됨.

 

문항의 구성

1. 인저적 지능 대 정서적 지능: 1,2,3,4,5,6,7

2. 자아의 통합: 8,9,10,11,12,13

3. 가족투사 과정: 14,15,16,17,18,19

4. 정서적 단절: 20,21,22,23,24

5. 가족 퇴행: 25,26,27,28,29,30,31,32,33,34,35,36

 

 

 

채점방법:

1) 각 문항은 4점 Likert식 척도로 평정

: 전혀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은편이다(2), 그런편이다(3), 아주 그렇다(4)

2) 각 문항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함.

3) 역채점 문항:1,2,4,5,6,7,11,12,14,15,16,17,18,19,21,22,23,24,25,33,34,35,36

 

하위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인지 대 정서 1*, 2*, 3, 4*, 5*, 6*, 7*

7문항

자아통합 8, 9, 10, 11*, 12*, 13

6문항

가족투사과정 14*, 15*, 16*, 17*, 18*, 19*

6문항

정서적 단절 20, 21*, 22*, 23*, 24*, 25*

6문항

가족퇴행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11문항

*역채점

 

▢ 문항총점 : 36 - 144점

​▢ 실시방법:

- 1번에서 13번까지의 문항은 2년간의 전반적인 행동, 경험 및 의견을 묻는 문항

- 14~36번까지는 현재뿐 아니라 아동기 청소년기 및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 행동 경험 및 의견을 묻는 문항

 

▢ 측정대상 : 청소년 대상 개발

 

▢ 해석방법:

 - 점수가 낮을 수록 융합이며, 높을수록 분화된 것이다. 융합인 경우, 나의 자아수준이 낮은 단계이다. 예로 나와 타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가족을 하나의 덩어리, 융합된 것으로 느끼는 상태이다. 반대로 분화될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은 상태.

 

 

※ 각 하위척도 해석방법 
 
1) 정서인지분화: 점수가 높을수록 성숙한 사고가 발달되어 본능적 충동의 지배를 덜 받음

2) 자아통합: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체계 또는 타인이나 상황으로부터 정서적인 압력을 받을 때 자기 자신의 신념과 생활원리를 잘 견지함

3) 가족투사: 부모의 미분화된 자아를 자녀에게 투사하여 부부문제를 대를 이어 전달하는 것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로부터 가족투사의 영향을 덜 받는 것을 의미

4) 정서적 단절: 부모와 자녀간의 자아가 미분화되어 융합이 심할수록 자녀는 부모로부터 정서적으로 단절되려는
경향이 일어나게 되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와 정서적으로 단절되려는 경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함

5) 가족퇴행: 자기분화 수준이 낮은 가정에서 더 많이 나타나며 본 하위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경향이 낮은 것을 의미
 
 

 

 

출처: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반응형

댓글